메뉴 닫기

[작성자:] 유준호

IDC 일상 – 열화상 카메라 촬영

열화상 카메라는 온도를 색으로 표현하여 눈으로 온도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입니다.  적외선 온도계를 많이 사용 하지만 보다 정확한 점검을 위한 필수 점검 장비 입니다.   적외선 온도계와 다른점은 적외선 온도계는 한곳의 온도만 측정 할 수 있지만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온도계 수천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넓은 면적을 측정 할 수 있습니다.  사용중인 열화상 카메라는 80 x 60 픽셀입니다. 이것은 4,800개의 적외선 온도계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넓은 면적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수배전 설비, UPS 및 서버 장비, 서버실의 열섬등  다양한 곳에 활용하여 정확한 문제점 파악 및 예방 정비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서버실 복도 및 랙 열화상 사진 입니다.  시각적으로 온도가 표현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좌.우측 열화상 좔영 사진은 UPS 장비의 퓨즈 교체 전.후 사진입니다.   좌측 사진은 교체전 사진으로 특정 퓨즈의 온도가 높게 측정이 되었습니다. 이때 측정된 온도가 부하에 따른 정상값 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에 의해서 조치가 필요한 것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우측 사진은 퓨즈 교체후 온도값이 정상으로 돌아온 것 입니다.   …

스마일 IDC의 그린 이야기-DIY LED 교체

서버실 등기구의 LED 교체는 작년 부터 준비 했던 작업 입니다. LED 등기구 선택은 무엇으로 할까 하다 역시 스마일서브 하면 완제품 보다 DIY 입니다.  우선 LED 관련 부품을 선정 합니다.     어떤 형태로 LED bar를 설치 할지 정한 다음 타공해 줍니다.  LED는 빚이 확산 보다는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광원을 최대한 넓게 설치합니다.    LED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니 교류를 직류로 바꿔줄 컨버터를 선정해야 합니다.  smps 및 아답터를 여러 용량별로 테스트를 거친 다음 안정성, 발열, 경제성을 고려해 선정해 줍니다.  LED의 장점은 수명 입니다.…

[필독] 불량 파워 전원 코드 판별하기

작년 불량 전선과 관련된 이슈가 있었습니다.  해당 전선은 알루미늄에 동을 도금 해서 제작한 것으로 쉽게 과열돼 화재의 위험이 높습니다. 바로 그 전선으로 파워 서플라이(PSU)전원 코드를 만든 것 같습니다.  얼마전 LG전자. 한국HP에서 노트북 전원코드를 리콜한 것도 같은 이유인지도 모르겠습니다.   PSU 전용이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크지 않아 사고의 위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 됩니다만 PSU 용도외 사용 하거나  높은 소비전력의 PSU에 사용하게 되면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전원 코드중 불량제품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비슷한 크기의 제품과  무게를 비교 (구리보다 알루미늄이 가볍다) 2. 절단하여 도체를 확인(피복을 제거후 불을 붙이면 알루미늄은 쉽게 불에…

스마일 IDC의 그린 이야기 – 랙 배기 효율 개선

IDC-SMILE 1센터는 하계를 제외한 계절은 급기를 통한 냉방으로 항온항습기를 최소한으로 운영 하고 있습니다.      IDC 서버들은 많은 열을 배출하기 때문에 서버룸 내부는 24시간 항온 항습기가 가동 되거나 급기를 통해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공급 시켜 주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차가운 공기를 필요한 곳에 적절히 공급해 주는 것 그리고 더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그림은 랙 배기 덕트를 사용하기 전.후의 공기 흐름도 입니다.  랙배기 덕트를 설치하기 전에는 랙 상부의 팬 주위의 공기, 그리고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만 흡수하게되어  서버 사이의 열이 순환하게 되어 효과적이지 못했습니다.  랙배기 덕트를 설치한 후에는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바로 흡수해 열 배출에 더욱 효과적이며,  열 배출이 개선 되면 냉방설비를 추가로 설치하는 비용, 전기요금을 절약 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고 잘 개선하면 비용도 줄이고 환경도 살릴수 있습니다.    [polldaddy rating=”7739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