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성능 문제나 이용하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실제 리얼 서버로 옴겨가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처음부터 재설치하고 데이터만 옴겨갈수도 있겟지만 그에 따른 작업이…
이번에 회사에서 플라넷 SGS-6340-16XR을 구매하여 테스트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테스트는 OPENSTACK VXLAN 구조에서 모든 기능이 잘 되는지 여부와 장비 기능 항목에 나와 있는 IP STACKING 입니다.. STACKING이…
간혹가다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OS를 갈아 탈경우 디스크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결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지만 방법을 모른다면 낭패 겠죠….. 이번에 윈도우 OS에서 우분투로 갈아 타면서 해당문제가…
오픈 스택 을 테스트하다 보니 아쉬운 점이 성능 및 기능 추가하거나 튜닝 할려면 파이썬 코드를 직접 수정해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실제 그런 부분에 대해서 오픈 스택에서 안내서가 딱히…
thin provisioning이란 기존의 스토리지나 볼륨, 물리적 저장소 체계에서는 리소스 할당시 물리적으로 고정된 용량을 할당하지요. 이렇게 사용시 문제점중 하나가 운영시 고정된 용량 만큼 사용하지 않을수 있어서…
최근 오픈 스택에 볼륨을 여러 인스턴스가 공유하는 manila 프로젝트를 확인 중인데 그 안의 기술중 LVM과 NFS를 사용하여 공유 볼륨을 만들고 운영 하는게 표준 mitaka 설치…
리눅스에선 현재 네트웍 상태를 기본적으로 ifconfig, netstat 등으로 확인이 가능하나 실시간 로드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nload라는 프로그램은 윈도우 작업관리자의 성능 탭과 같이 실시간 누적된 트래픽 및현재 트래픽을…